서울시, 민·관 협력으로 장애인 거주 반지하 9가구 주거환경 개선

지난해 11월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시범사업' 시작 후 6개월 만에 9가구 지원

서울시가 지난해 11월 반지하 등 열악한 주택을 발굴, 민·관이 함께 집수리를 지원하는 '안심동행주택' 시범사업을 시작한 뒤로 6개월 만에 9가구를 지원했다.


서울시는 '안심동행주택 9호(도봉구 쌍문동)' 반지하 주택 집수리를 완료하고 집들이를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수리가 완료된 집에 재입주를 축하하는 집들이에는 유창수 서울시행정2부시장, 박 석 서울시의원, 오언석 도봉구청장, 대우건설 및 한국해비타트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안심동행주택 9호' 현판을 증정하고, 공사기간 중 소음 등 불편을 양해해 준 이웃에게 떡을 선물하는 등 집들이 행사가 진행됐다.


시는 지난해 11월, 대우건설·한국해비타트와 '주거안전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서대문구 북아현동과 강서구 화곡동, 각 1개소를 시작으로 중증 장애인이 거주하는 반지하 주택 맞춤형 공사를 지원해 왔다.

'대우건설'은 주거환경 개선에 필요한 사업비 2억 원 후원 및 임직원 봉사활동을 지원하고 '한국해비타트'는 가구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공사를 시행했다.


한편 서울시는 5월까지 '안심동행주택' 시범사업을 마무리하고, 6월부터는 연내 반지하 주택 총 50가구 개선을 목표로 '주거약자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민관협력 사업' 본격 추진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주거취약계층 발굴부터 지원까지, 더욱 촘촘한 주거안전망을 구축하는데 민간 부문 포함 다양한 주체의 역량을 활용하는 '주거안심 동행파트너'도 본격 가동한다.


이번 개선 작업에서는 바닥을 전체적으로 철거하여 단열재를 바르고 수도 등 배관을 수리했으며,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환풍기를 설치하는 등 곰팡이 재발을 막는데 집중했다. 또 중증 장애인, 노인이 함께 거주하는 점을 감안해 위급상황을 조기에 알려주는 경보시설도 설치했다.


도봉구 '쌍문2동주민센터'는 공사가 진행되는 2주 동안 노모와 아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임시거처를 마련해 주었으며, 공사가 완료된 뒤에는 '쌍문2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자원봉사로 이삿짐 정리, 입주 청소를 지원했다.


유창수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6개월 동안 민․관이 힘과 뜻을 모아 9가구의 삶에 큰 기쁨과 변화를 선사했다"며 "앞으로도 사각지대에 놓인 주거취약계층을 적극 발굴하고 더 많은 주거안심 동행파트너와 협업하여 주거약자와 지속적으로 동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포토



핫이슈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