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공익광고 편성 확대 권고에 방송사들 황금시간대 편성 줄여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 “면피성 공익광고로 스스로 공공성 저해”

공영방송의 '황금시간대' 공익광고 편성이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방송통신위원회가 시청률이 높은 주 시청시간대 공익광고 편성을 늘리자는 취지로 방송법 시행령을 개정하기로 했지만 이를 외면한 것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서 받아 21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KBS1·KBS2·MBC 등 공영방송 공익광고 편성현황을 보면 지난해보다 올 상반기 SA등급(주 시청시간대) 시급(광고판매기준시간대) 공익광고 편성횟수와 비율이 모두 줄었다. 현재 방송사들은 시청률에 따라 방송시간을 SA등급·A등급·B등급·C등급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KBS1의 경우 올 상반기 전체 공익광고 358건 중 SA등급에 96건(26.8%)을 편성했지만 이는 2017년(33.5%), 2018년(31.5%), 2019년(37.4%)에 비해 감소한 수치다.


KBS2의 경우 올 상반기 전체 공익광고 373건 중 SA등급에 46건(12.3%)를 편성했는데 이 역시 지난해 12.9%에 비해 다소 감소한 수치다.

MBC는 올 상반기 전체 공익광고 663건 중 SA등급에 24건(3.6%)를 편성했는데 이 역시 지난해 4.6%에 비해 저조한 수치다.

공영방송사들은 시청률이 낮은 평일 낮시간이나 새벽시간대인 C등급에 공익광고를 집중 편성했다. C등급에 KBS1은 45.3%, KBS2는 66.2%, MBC는 84.6%를 편성했다. MBC의 경우 민영방송인 SBS(80.7%)보다 C등급 편성 비율이 높았다.

EBS 역시 주 시청시간대 편성비율이 줄었다. EBS의 경우 SA등급이 없고 A·B·C 등급으로 구분하는데 올 상반기 전체 공익광고 953건 중 A등급이 260건으로 27.3%를 차지해 지난해 A등급 34.4%보다 감소했다.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도 대체로 주 시청시간대 공익광고 편성비율이 줄었다.


조명희 의원은 "현행 방송법은 방송사들에게 일정 비율 이상 비상업적 공익광고를 편성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방송사들은 공익광고를 시청률이 저조한 새벽, 낮 시간대에 집중편성한 면피성 공익광고로 스스로의 공공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토



핫이슈

더보기


배너